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eep learning
- Lr Scheduler
- Cosine annealing
- 인공지능
- Machine Learning
- 머신러닝
- 음성인식
- End-To-End
-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
- 부스트캠프
- ai
- aitech
- VAD
- 딥러닝
- Learning rate Scheduler
- 네이버커넥트재단
- 부스트캠프ai
- Today
- Total
목록General (20)
AI4NLP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3521543 나는 주니어 개발자다 - YES24 『나는 주니어 개발자다』는 다섯 명의 평범한 주니어 개발자들의 성장 이야기를 다룬다. 하지만 각자의 이야기는 결코 평범하지 않다. 늦깎이 취업 준비생, 사범대 졸업생, 임베디드, 산업기능 www.yes24.com 이번에 글또 5기에서 만난 분들과 주니어 개발자로서의 생활과 과정에 대한 글을 써서 모음집 형식으로 책을 냈다. 처음에는 쉬울거라고 생각하고 글 작성을 시작했는데,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고된 작업이었다. (힘들고 고통스러워서) 잊고 살던 기억들을 다시금 끄집어내서 써야했기 때문이다. 나도 모르게 잊고 살던 기억들이 많았다. 대학원 진학하기 이전부터 대학원에 갈지 임용을 볼지 고민하..

한빛미디어에서 를 통해 책을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어떤 새로운 개념 혹은 (프로그래밍) 언어을 공부한다고 할 때에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공부하려고 하는 것의 철학 혹은 역사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시중에 파는 많은 책들은 책에서 설명하는 것에 대한 설치 방법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절대 이런 류의 책이 잘못되었다는 뜻은 아니니 오해 없길 바랍니다.) 하지만, 이번에 읽은 '김상형의 SQL 정복'은 설치 방법이 아닌, SQL의 개념과 필요, 역사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해서 너무 좋았다. 또, 별생각 없이 읽어나가다가 챕터 마지막에 있는 연습문제의 등장으로 인해 해당 챕터에서 공부한 개념들에 대해 다시한번 복습할 수 있게 해준다. 그 후 2-3장에 걸쳐 오라클, SQL Serv..

"한빛미디어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예전에 한 과제를 할 일이 있었다. 이 과제에서 점수가 책정되는 방식 중에서 전체 처리시간도 들어가있었는데, 파일 I/O (Input, Output)에서 병목이 발생해서 multiprocessing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해결해보려 했던 적이 있었다. 인터넷에 있던 여러 예제 코드들과 도큐먼트들을 참고해서 코드를 만들었는데.. 이전과 달라진 점들이 하나도 없었다. 그래서 직접 확인해보니, 분명히 동시에 처리는 하고 있었는데, 이상하게 속도가 1/n으로 줄어들어있었다. 결국 디버깅하지 못하고 그대로 과제를 제출했던 기억이 있다. 최근에 회사에서 업무를 진행하면서 비동기 프로그래밍이란 것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적용하면 I/O를..

유튜버 라이너 님은 게임 채널을 하던 시절부터 즐겨보던 유튜버였다. 그러다가 부캐처럼 만든 영화 리뷰 채널이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으며 지금은 부캐가 본캐를 넘어 더 유명해져버렸다. 그런 이유로 현재는 영화 유튜버로서 더 유명하다. (어둠땅에 대한 이야기도 게임 채널에서 보고 싶은데...ㅎㅎ) 그런 라이너님이 책을 냈다고 해서 예스에서 구입해서 읽어보게 되었다. 철학은 초중고 시절 무지막지하게 팽창하던 나의 자아를 잡아주고 묶어주는 버팀목이 되어주는 지식이자 학문이었고, 인공지능을 공부하고 있는 현재로서는 더더욱 멀리할 수 없는 것이 되어버렸다. 내가 이해한 바로는 철학과 영화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공통점이라면 둘 다 인간에 대한 이해를 그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다. 차이점이라면 철학은 인간에 대..
사실 구직활동의 시작은 2019년 12월 뉴립스부터였다. 몇몇 회사들은 면접을 진행중이었고, 몇몇 제안도 받았지만.. 배우면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이 구성되지 않은 회사가 대다수였어서 그대로 귀국하기로 마음 먹었었다. 그렇게 2020년 2월말 카네기멜론대학교에서의 6개월간의 수업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여러 상황적인 요인들과 회사에서 일하는 것이 궁금했어서 다시 구직 활동을 시작했었다. 일을 배워가면서 하고 싶단 욕심, AI 업무의 시작과 끝을 경험해보고 싶단 생각, 지금까지 공부해왔던 것들을 점검해보고 싶단 생각이 강했어서, 대기업, 중견기업에는 아예 이력서도 넣지 않고 스타트업에서 일하려고 했었다. 내가 한가지 특이했던 점은.. 원래 공부하던 분야는 자연어처리였지만, "학습 속도가 빠른 사람이 되자"라는..

한빛미디어의 제공으로 "실전 보고서 작성 기술"이라는 책을 받아보게 되었다. (감사해요 한빛미디어!) 우선 이 책을 읽었을 떄에 들은 생각은 "아쉽다!" 였다. 책 내용이 "아쉽다"는 뜻은 절대 아니고, 이 책을 미리 만났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었다. 저는 대학원생이자,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사람인데, 업무 특성상 사업 계획서를 작성할 일이 많다. 또한, 가끔씩 사업 계획서를 보고 평가할 일도 생기곤 하는데 다른 사람의 서류를 볼 때마다 드는 아쉬움, 감탄등이 있었다. 국가 연구 지원을 위한 사업 계획서를 작성할 때마다, 남들이 쓴 사업 계획서를 작성할 때마다 "좋은 보고서란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하는 일이 잦았다. "좋은 보고서란 이것이다!" 라고 확답을 내리지는 못하고 있었는데, 이 ..

언젠가는 인공지능 공부를 시작하면서부터 지금까지의 과정을 돌이켜보고 복기해보자고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맘 먹은만큼 쉽지 않았다. 아마 공부를 시작하면서부터 너무 바쁘게, 정신없이 달려온 것이 그 이유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서 미루고 미뤄두고 있었는데, 참여하고 있는 프로젝트 팀 헤파이스토스에서 2020년 회고 모임을 가졌고, 그 모임에서 이야기하다 보니 생각이 어느정도 정리가 되어서 회고 글을 쓰게 되었다. 2018년 나는 사범대, 수학교육과를 졸업했다. 학부에 다니는 동안 좋은 선생님이 되기 위해 여러방면으로 많은 노력을 하였다. 4학년 1학기 교생 실습 중에 선생님이라는 직업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다. 선생님이라는 직업은 분명 보람있고 가치있는 직업이다. 하지만, 학생들과 부대끼는 시간보다..

대회 및 task 설명 이번에 회사에서 팀장님과 함께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에 참여하였다. 회사 소속으로 참여한 2번째 대회이다 (첫번째로 참여한 대회 후기는 이 링크를 클릭! ). 인공지능 그랜드 챌린지는 1단계 2019년, 2단계 2020년, 3단계 2021년, 4단계 2022년 순으로 진행되는 대회이며, 우리가 참여한 대회는 2단계 4차 대회 트랙 2, 음성인지 였다. 4차 트랙2 음성인지는 폭력상황의 대화를 인지하여 어떤 폭력의 종류인지 분류하는 대회였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대화가 입력으로 들어와서 그 대화의 class를 분류하는 것(일반 대화 label 포함)이었다.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1위로 입상하였고, 후속 연구 지원금으로 7억 6천만원 정도를 지원받게 되었다. 데이터 ..